사고‧외상‧감염 등으로 신체 절단을 경험하면 다양한 심장 질환 발병 위험이 높아져서 재활 치료 시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.
특히 심장병 위험은 절단에 따른 장애 정도가 심할수록 비례해서 증가했다.
이번 연구와 관련 2022년 대한재활의학회에 보고된 내용을 보면 우리나라는 인구 10만명 당 38.3명꼴로 절단사고를 경험했다. 또 2020년 기준 17만5315명이 절단으로 장애 진단을 받았다.
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, 숭실대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 교수,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최혜림 교수, 서울대병원강남센터 가정의학과 유정은 교수 공동 연구팀은 ‘미국심장협회지(Journal of American Heart Association)’에 이 같은 논문을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.
신동욱 교수는 “심장 질환은 신체 절단 환자에게 더욱 치명적이지만 예방 가능하다”며 “절단 후 환자들을 면밀하게 관찰해서 재활 과정에 포함시킬 수 있게 조치해야 한다”고 강조했다.
연구팀은 국립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해서 2010~2018년 사이 절단 경험 환자 2만2950명과 이들의 나이와 성별에 맞춰 선별한 대조군 7만6645명을 비교했다. 이어 두 그룹의 신체 절단과 심장 질환 발병 사이의 인과 관계를 분석했다.
그 결과 절단 환자들은 심장 질환 발병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. 심장병의 종류별 발생 위험은 대조군에 비해 △심근경색증 30% △심부전 27% △심방세동 부정맥 17% 순이었다.
이 같은 위험은 절단으로 장애 정도가 심할 때 더 도드라진 것으로 집계됐다. 장애 정도가 심각하면 대조군에 비해 발병 위험이 △심근경색증 81% △심부전 134% △심방세동 부정맥 52% 더 높았다.
장애 정도가 이보다 낮은 경증부터 중등도 사이 환자는 발생 위험이 △심근경색증 35% △심부전 20% △심방세동 부정맥 26% 더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.
연구팀은 이 같은 원인으로 절단에 따른 혈역학적 변화와 함께 △신체 활동 감소 △비만 증가 △음주 등 생활 습관이 바뀐 것을 꼽았다. 또 신체 절단 및 장애에 따른 스트레스 등 심리적 요인도 심장 질환 발생을 부추겼다고 분석했다.